LPY.world™ 플랫폼은 일이관지(一以貫之) 일목요연(一目瞭然)한 LPY.world™ 기반 BM 만기(萬機, platFORM) 매트릭스 Closed-World Assumption(CWA) 개념
쟁 점(LPY.縱) / 관 점(PREP.横) | 모형검토 (□ Table 구(矩) Match, Link) | 문제정의 (△ Tree 준승(準繩) Search, core waY) | 과제해결 (○ Cycle 규(規) Catch, Parts) |
---|---|---|---|
차별화(紋) (Propose) | 설계변경의 정보미스매치 이슈 파악 | 오탐없이, 미탐없이 부품탐색하며 패턴인식 문제 | ITEM™ ∪ OASIS™ 패턴모니터링 문제 캐치 |
가치창출력(連) (Reason) | 파츠북 서비스부품관리 모델링 | 파츠북 제작 및 발간 어려움 니즈 | 파츠북 서비스부품관리 파트너십 혁신 |
확장성(開) (Example) | Open Cross Platform(I, S, O) | SBOM-based PartsBook System(S) | PartsBook Viewer System(A) |
희소성(小) (Point) | 수익모델(계속사업이익) | 시장 시그널링(시장규모) | 도입효과 |
<LPY.world™ 기반 BM 만기(萬機, platFORM) 매트릭스>
- 플랫폼은 날줄과 씨줄이 갖는 베틀이며 기(機)입니다. 여기서 날줄인 시점과 씨줄인 관점이 만나서 오만가지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플랫폼이 될 것입니다. 즉, 만기의 기(機)는 베틀 즉 베를 짜는 틀로서 날줄과 씨줄을 갖는 틀, 즉 날씨와 같이 변화무쌍한 만 가지 베틀이 될 것입니다.
- 2차원 행렬방정식으로 보이는 LPY.world™ 플랫폼은 날줄인 시점별로 열단위 구성하면, 문제정의단계에서 올바른 문제의 패턴인식으로 오탐없이 미탐없이 부품 탐색하여 Gap분석합니다. 주제파악단계에서 거래비용의 정보미스매치 이슈가 최소화되도록 근거설정합니다. 과제해결단계에서는 패턴모니터링을 캐치하여 적용합니다.
- 이를 추진할 씨줄인 관점별로 행단위 구성하면 차별화, 가치창출력, 확장성, 희소성의 순서가 됩니다. 따라서 수렴과 확산의 디자인씽킹 프로세스에 따라 행렬 로드맵은 12가지 퍼즐로 구성됩니다.